이승철 | 송창수 | 윤진영 |
---|---|---|
전통재료 Ⅰ,Ⅱ (Research on Minwha Formativeness Ⅰ, Ⅱ) |
민화실기Ⅰ,Ⅱ (Minwha Practical Painting Ⅰ,Ⅱ) |
민화조형연구Ⅰ,Ⅱ (Introduction to Traditional Materials Ⅰ,Ⅱ) |
화조도, 책가도, 영모도, 십장생 등 민화의 전통기법을 바탕으로 구도, 조형, 채색 표현방법을 연구하여 현대적 재해석의 바탕을 숙련하는 기본과정을 연구한다.
조선 후기 민화의 조형요소를 현대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창작의 과정에 반영한다. 특히, 전통민화의 재현을 넘어서 작가의 개성과 표현의 다양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창작민화의 조형세계를 살펴본다.
기록화를 중심으로 역사적 인물, 배경, 구도 등 채색화의 다양한 표현방법을 연구하고 기록화에서 표현할 수 있는 인물화, 산수화 등 전통 채색화의 조형적 도상과 기법 등 민화의 전문과정을 심도있게 탐색한다.
20세기 이후의 민화에 나타난 조형 요소를 살펴보고, 이를 현대의 시각으로 해석하여 창작민화로서의 방향을 탐색한다. 특히, 전통민화의 도상과 채색 등 조형성에 초점을 두어 현대 민화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전통회화에 사용된 종이와 안료의 제작과정을 이해하여 이를 새로운 창작의 매체로 개발하는 방법을 익힌다. 특히, 한지와 염료의 제작 방식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전통재료가 지닌 잠재적 활용가치를 탐색한다.
전통민화에 사용된 안료와 종이의 성분을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민화에 나타난 안료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특히, 전통안료와 현대안료의 특성을 창작에 응용하여 현대민화가 모색해야 할 재료의 가능성을 살펴본다.